분류 전체보기 썸네일형 리스트형 홈페이지 개편 및 이전 안내 공익인권변호사모임 희망을만드는법의 홈페이지를 새롭게 단장하였습니다!2012년 창립 당시부터 사용한 구 홈페이지를 개편하여 새로운 감각에 맞게 디자인하고 희망법의 활동을 보다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도록 카테고리를 일부 조정하였습니다.새로운 홈페이지, 많은 방문과 이용을 부탁드립니다! 새 홈페이지는 예전과 같이 http://hopeandlaw.org 로 접속하실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더보기 희망법 소식지 2016년 7월 (제45호) 희망법 소식지 2016년 7월 (제45호) 더보기 사진으로 보는 희망법 (2016년 6월 활동) 2016년 6월 희망법은 어떤 활동들을 벌여왔을까요? 6월의 희망법 활동을 사진으로 담아보았습니다. 6월 1일에는 인권연구소 창 류은숙 활동가와 희망법 서선영, 이종희 변호사가 공저한 북콘서트가 청년허브에서 열렸습니다. 으로 일터괴롭힘에 대한 인식과 문제제기를 넓혀가려는 활동을 함께 벌여나가고 있습니다. 6월 22일에는 희망법 이종희 변호사가 역시 의 내용을 바탕으로 인권운동공간 활에서 "일터괴롭힘,어떻게 대응할 것인가"라는 주제로 강의를 진행하였습니다. 희망법 조혜인 변호사는 6월 2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의 출판 보고대회 및 토론회에 발제자로 참여하여, 차별금지법을 중심으로 20대 국회에서의 소수자 인권 입법 과제를 발표했습니다. 20대 국회에서는 차별금지법 꼭 통과해야 .. 더보기 [희망법 기고] 커다란 현수막 펼친 어머니 (한겨레21) 커다란 현수막을 펼친 어머니 희망법 한가람 변호사가 "한겨레21" 마지막 지면 '노 땡큐!' 코너에 칼럼 연재를 하고 있습니다. 성소수자 부모모임에 관한 칼럼을 옮겨 싣습니다. (사진출처: 성소수자부모모임 페이스북 페이지) 성소수자 가족분들을 모시고 강연한 적이 있었다. 성소수자에 대한 기본적 지식을 전하며 가족의 수용이 성소수자 건강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내용이었다. 자녀의 정체성이 불편하더라도 지지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할 때였다. 강연을 듣던 한 어머니가 눈물을 닦고 있었다. 마무리할 즈음 그 어머니께 소감을 여쭤보았다. 자녀가 성소수자라는 사실을 알고 나서 모질게 대했던 기억이 났다고 했다. 다른 어머니가 말했다. 자녀의 정체성을 알고 나서 성소수자 인권단체에 방문하던 날, 그 사무실 앞에서 한.. 더보기 [에이블뉴스] 뇌병변장애인 임용탈락 법정공방 2차전 뇌병변장애인 임용탈락 법정공방 2차전 광주광역시교육청, 1심 패소 불복 항소장 제출 한뇌협, "예상한 일, 철저히 준비해서 승소할 것"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6-07-25 16:58:18 최근 뇌병변장애인의 특수교사 불합격처분 취소소송에서 패소한 광주광역시교육청이 결과에 불복, 항소하면서 법정공방이 계속될 전망이다. 광주교육청 관계자에 따르면 소송 1심 판결과 관련해 법적인 자문과 협의를 거친 끝에 항소 마지막 날인 25일 광주지방법원에 항소장을 제출했다. 항소장을 제출한 이유는 1심 소송에서 가리지 못한 몇 가지 부분을 고등법원 재판에서 가려야 한다는 의견이 모아졌기 때문이다. 다만 구체적인 항소내용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뇌병변장애인 특수교사 불합격처분 취소소송은 뇌병변장애인 장혜정(여·.. 더보기 [에이블뉴스] 임용탈락 뇌병변장애인 18개월 만에 승소 임용탈락 뇌병변장애인 18개월 만에 승소 재판부, “정당한 편의 제공하지 않은 것은 위법” 불합격처분 취소…교육청, “판결문 보고 항소 결정”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6-07-07 18:09:22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다는 이유로 특수교사 임용시험에서 불합격처분을 받은 뇌병변장애인 1급의 장혜정(여, 35세)씨가 소송 1년 6개월 만에 1심에서 승소했다.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는 광주광역시지방법원 제1행정부가 7일 불합격처분 취소청구 소송과 관련 “광주광역시 교육감이 교육공무원 채용시험에서 장애인 응시자에게 정당한 편의를 제공하지 않은 것은 위법하기 때문에 장 씨에 대한 불합격처분을 취소한다"고 판시했다고 밝혔다. .. 중략 .. 장 씨는 "10여년 동안 포기하지 않고 임용시험을 치러온 것은 정.. 더보기 [에이블뉴스] ‘시각장애인 선거권 보장’ 헌법소원 청구 ‘시각장애인 선거권 보장’ 헌법소원 청구 경기인권센터 등 “점자형 선거공보 면수 제한 차별” 에이블뉴스, 기사작성일 : 2016-07-04 15:37:15 경기도장애인인권센터와 경기도시각장애인연합회가 지난 1일 헌법재판소에 시각장애인용 선거공보에 관한 현행 공직선거법 제65조 제4항에 대한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했다고 4일 밝혔다. 현재 공직선거법에는 점자 인쇄물이 묵자 인쇄물에 비해 3배 가량의 분량이 필요함에도 점자형 선거공보물의 분량을 책자형 선거공보물의 면수 이내로 제한하고 있다. 이로 인해 시각장애인은 비시각장애인에 비해 부족한 선거정보만을 제공받을 수밖에 없다. .. 중략 .. 인권센터는 “보이스아이 이용에 어려움을 겪는 시각장애인이 다수 존재하고, 청각장애를 중복해서 가진 시각장애인에게는 보이스.. 더보기 [한겨레21] 노 땡큐!-커다란 현수막 펼친 어머니 노 땡큐! 커다란 현수막 펼친 어머니 제1120호 등록 : 2016-07-15 15:16 성소수자 가족분들을 모시고 강연한 적이 있었다. 성소수자에 대한 기본적 지식을 전하며 가족의 수용이 성소수자 건강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내용이었다. 자녀의 정체성이 불편하더라도 지지할 수 있다는 이야기를 할 때였다. 강연을 듣던 한 어머니가 눈물을 닦고 있었다. 마무리할 즈음 그 어머니께 소감을 여쭤보았다. 자녀가 성소수자라는 사실을 알고 나서 모질게 대했던 기억이 났다고 했다. 다른 어머니가 말했다. 자녀의 정체성을 알고 나서 성소수자 인권단체에 방문하던 날, 그 사무실 앞에서 한참을 망설였다고 했다. 여기에 들어가면 그냥 다 인정해버리는 것 같았다고, 떨리는 다리로 계단을 올라갔다고, 그런데 들어가 사람들을 보.. 더보기 시각장애인용 선거공보에 관한 공직선거법 제65조 제4항에 대한 헌법소원 제기 시각장애인용 선거공보에 관한 공직선거법 제65조 제4항에 대한 헌법소원 제기 희망법의 김재왕 변호사는 경기도장애인인권센터와 함께 지난 7월 1일 헌법재판소에 시각장애인용 선거공보에 관한 현행 공직선거법 제65조 제4항에 대한 헌법소원심판을 청구하였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첨부한 보도자료를 참조해 주세요. 시각장애인 선거정보접근권 침해하는 공직선거법 -경기도장애인인권센터와 (사)경기도시각장애인연합회, 헌법소원심판 청구- 경기도장애인인권센터(센터장 김정열, 이하 ‘인권센터’)는 「경기도장애인차별금지 및 인권보장에 관한 조례」에 따라 만들어졌으며, 경기도 장애인인권의 허브로서 장애인의 차별과 인권침해를 예방하고 장애인의 완전한 사회참여와 평등을 목표로 합니다. 인권센터와 (사)경기도시각장애인연합회는 지난 7월 .. 더보기 [승소 소식] 뇌병변장애인 임용거부취소소송 승소 [승소 소식] 뇌병변장애인 임용거부취소소송 승소 지난 7월 7일, 공익인권변호사모임 희망을만드는법(이하 희망법)은 한국뇌병변장애인인권협회와 법무법인 JP 김용혁 변호사와 함께 2014년 광주광역시 교육감을 상대로 제기했던 특수교사 임용시험 불합격처분 취소소송에서 승소했습니다. ○ 사건의 개요 2014. 2. 5. 광주광역시 교육감은 2014년도 중등특수교사 임용시험에서, 장 씨(당시 33세, 뇌병변장애 1급)에게 불합격 처분을 했습니다. 장 씨는 장애인 구분모집에 응시한 7명 중 유일하게 1차 시험에 합격하였으나, 1차 시험 합격자를 대상으로 한 2차 시험 면접에서 부적격 판정(0점)을 받아 불합격했습니다. 면접관들이 장 씨에게 부적격 판정을 내린 이유는 언어적·비언어적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었습.. 더보기 이전 1 2 3 4 ··· 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