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론에 비친 희망법

뉴스토마토-(피플)"차별, 없앨 수 없다면 최대한 줄여가야죠"

(피플)"차별, 없앨 수 없다면 최대한 줄여가야죠"

국내 첫 시각장애인 변호사 김재왕 씨
"법조인들, 장애인 잘 모른다는 것 인정해야" 


"장애인에 대한 차별을 완전히 없앨 수는 없겠지만 좁힐 수는 있겠지요. 노력하다보면 하다못해 버스라도 모두 저상버스로 바뀌는 날이 언젠가는 오지 않을까요"

 

김재왕(38·변호사시험 1회) 변호사는 자신의 신념을 이렇게 밝혔다. 그는 국내 시각장애인 1호 변호사다. 선천적으로 한쪽 눈의 시력을 갖지 못했지만 각고의 노력으로 서울대학교에 입학해 생물학을 전공했다. 대학원 시절에는 촉망받는 생물학자였다. 그러나 나머지 한쪽 눈마저 녹내장으로 시력을 잃었다. 참담했지만 다시 일어났다. 법률가가 되기로 결심하고 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에 입학한 뒤 제1회 변호사시험에 합격했다.

 

그러나 딱히 갈 곳이 없었다. 장애를 가진 당사자로서 장애인을 위한 차별 없는 세상을 만드는 데 힘을 보태고 싶었지만 진로는 너무 좁았다. 결국 뜻 맞는 변호사들과 공익인권변호사 모임인 '희망을 만드는 법'(희망법)을 설립했다. 김 변호사는 "일자리가 없는 요즘 청년들이 창업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설명했다.

 

희망법에는 변호사 7명이 사법연수원과 로스쿨 출신 구분 없이 똘똘 뭉쳐있다. "국가와 자본을 비롯한 모든 권력으로부터 독립성을 유지한다"는 원칙이 '희망법'의 제1가치다. 때문에 사무실 살림이 어렵더라도 순수 개인 후원을 원칙으로 하고 국가나 기업 지원은 받지 않는다.

 

그런 그가 지난해 전국 법원을 돌며 장애인 인식개선을 강연했다. 김 변호사는 "장애인을 잘 모른다는 사실을 스스로 받아들이는 것이 법조인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이라고 강조했다. 김 변호사를 만나 그가 꿈꾸는 차별 없는 세상에 대해 들어봤다.

  

시각 장애인으로서 법률가가 되겠다는 도전이 쉽지 않았을 것 같다.

.. 중략 ..

 

변호사 생활 중 가장 뜻 깊었던 사건은 무엇인가.

.. 중략 ..

 

장애인 변호사로서 편견과 오해를 받은 적은 없었나.

.. 중략 ..

 

작년에 법원 공무원들을 중심으로 '장애인 인식개선 교육' 순회강연을 해왔다. 반응은 어땠나.

.. 중략 ..

  

'희망법' 활동이 왕성하다. 공익인권변호사 단체를 만든 이유는 무엇인가.

.. 중략 ..

 

'희망법' 구성은 어떻게 되어 있나.

.. 중략 ..

 

기업에 의한 인권침해 사례도 많이 있나.

.. 중략 ..

 

지금 맡고 있는 주요 사건은 어떤 것이 있나.

.. 중략 ..

 

장애인 인권과 법적 권리 보호를 위해 특히 법조인들은 어떻게 해야 하나.

.. 중략 ..

 

"장애는 사회적 문제사회적 지원 없으면장애인 성공 못해"

지난해 강연에서 ‘장애는 극복하는 게 아니라 적응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어떤 의미인가.

.. 중략 ..

 

이 길에 들어선 이상 갈 길이 먼 것 같다.

하면 할수록 일거리가 많다. 사회 곳곳에 차별적인 부분들이 참 많다. 장애와 관련해서는 차별이 사라질 수는 없다고 생각한다. 차이는 있으니까. 그렇지만 어떻게든 그 차이를 좁혀가는 게 제가 할 일이 아닌가 생각한다. 하다못해 모든 버스가 저상버스로 바뀌는 날이 언젠가는 오지 않을까.

 

이우찬 기자 iamrainshine@etomato.com

 

[원문보기] http://www.newstomato.com/ReadNews.aspx?no=6126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