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언론에 비친 희망법

[헤럴드경제] 혐오의 일상화① 온라인 판치는 ‘혐오’에 스트레스 받으셨죠?

[혐오의 일상화①] 온라인 판치는 ‘혐오’에 스트레스 받으셨죠?   
 
인터넷 점령한 혐오, 바닥에 깔린 정서가 수면 위로… 더 강하고 자극적인 ‘엽기정서’ 싹터… 차별금지법 제정 서둘러야


[헤럴드경제=배두헌 기자] #. 스마트폰을 이용해 수시로 뉴스를 보는 이모(48)씨는 최근 기사에 달린 댓글을 보고 눈살을 찌푸리는 일이 잦아졌다. 상대를 가리지 않는 조롱과 욕설은 물론 성별, 지역 등과 관련한 혐오 표현을 접하면 그 자체로 스트레스를 받는다. 이씨는 서울 토박이지만 전라도나 경상도 등 지역 혐오 표현에 대한 거부감도 크다. 이씨는 “스마트폰 보급으로 인터넷 사용 시간이 크게 늘었는데 온라인에서 저속한 혐오 표현들은 정화되기는커녕 점점 더 늘어나는 것 같다”고 말했다.

 

지난해 한국 사회를 휩쓸었던 키워드 중 하나인 ‘혐오’가 점차 일상화되고 있다. 우리 국민들이 온라인 상에서 각종 혐오 표현을 접하는 빈도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것이다. 특정 집단을 비하하며 ‘벌레 충(蟲)’자를 붙이는 신조어가 유행처럼 번지더니 최근에는 일부 여성들이 ‘미러링’(mirroring) 전략을 들고 나와 온갖 ‘남성 혐오’ 표현을 쏟아내고 있다.

 

‘온라인 시대’에 접어들면서 성별, 지역, 계층을 막론한 저급한 혐오 문화가 국민들의 일상 속에 뿌리내리고 있는 상황이다.


.. 중략 ..

 

그러나 최근 열린 ‘혐오표현의 실태와 대책’ 토론회(서울대 인권센터ㆍ혐오표현 연구모임 주최)에서 발제자로 나섰던 김호(서울대 철학과)씨는 이같은 혐오 표현이 단순히 ‘일베’의 문제로 환원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원래부터 ‘인터넷 문화’에 근저에 깔려 있던 정서가 점차 확산돼 주류 정서로 자리잡았다는 것이다.

 

.. 중략 ..

 

이날 발표자들은 혐오 표현을 규제하기 위해서는 차별금지법 제정 등 시스템 마련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류민희 변호사(공익인권변호사모임 희망을만드는법)는 “혐오 표현에 대해 법적 대응 뿐 아니라 다양한 방법으로 대항해야 한다”며 “무엇이 혐오 표현인지 구별할 수 있도록 일상 속에서 평등 훈련이 시민교육 차원에서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문보기] http://news.heraldcorp.com/view.php?ud=201602180002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