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에 비친 희망법

[코리아헤럴드] '나 레즈비언이야' 고백에 대뜸 손잡고 '교회가자'던 부모

희망을만드는법 2015. 6. 5. 13:54

'나 레즈비언이야' 고백에 대뜸 손잡고 '교회가자'던 부모

 
지난 달 21일, 인천 송도에서 세계교육포럼이 한창인 가운데, 회장 바깥에서 한 무리의 청소년들이 천막을 치고 시위를 벌였다.

 

“교육부에서 알려주지 않는 현실입니다! 참고하세요.” 이들이 배포한 유인물에는 지난 교육의 성과를 자랑하는 포럼의 특별세션과 달리, 한국 교육이 여러 문제에 시달리고 있다고 지적하고 있었다.

 

시위에 참가한 “십대섹슈얼리티인권모임”의 활동가들은 정부가 청소년의 성에 대한 교육의무를 외면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중 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성소수자들에 대한 정부의 교육부재였다.

 

.. 중략 ..

 

과거에 비해 성소수자 인권에 대한 관심이 늘어났다고는 하나, 한국 사회에서 성소수자로 살아가기는 아직도 쉬운 일이 아니다. 유교적 전통이 강하고 “보편적 성의식”에서 벗어나는 이들에 대해 차가운 시선을 보내는 이들이 다수인 상황에서 당당히 자신의 성 정체성을 공개하는데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서울지방 경찰청은 지난 30일, 성소수자들의 축제인 ‘퀴어문화축제’ 거리행진을 금지한다고 통고했다. 1일에는 보수 기독교 단체 5곳이 기자회견을 열고, 축제 자체를 아예 취소하라고 촉구했다.

 

.. 중략 ..

 

공익인권변호사모임 ‘희망을 만드는 법’ 소속 한가람 변호사는 “최근에 보수 개신교를 중심으로 반(反)성소수자들의 활동이 조직적이고 광범위하게 이어지고, 동성애/성소수자들에 대한 차별을 선동하면서 이들에 대한 편견을 조장하는 얘기가 퍼져나가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기본적으로 우리 사회가 다른 것들에 대한 배타성이 심한데, 소수자들의 목소리를 듣거나 하는 부분에서 좀 미흡한게 아닌가 생각이 든다”면서 “같은 사회를 살아가는 사람들의 인권에 대한 인식이 좀 약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 중략 ..

 

사회 전반적으로 성소수자들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황에서 가정도 안전한 곳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희믄씨는 처음에 부모에게 커밍아웃을 했을 당시 이들이 자신을 “고치려고”했었다면서, 교회를 가서 목사와 상담할 것을 건의했다고 한다. 아이러니한 것은 그의 부모가 기독교인조차 아니었다는 점이다.

 

.. 중략 ..

 

벼랑 끝에 몰린 청소년 중 상당수는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경우도 있다. “서울시 성소수자 학생인권 실태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76.6%가 자살을 생각한 적이 있으며, 58.5%가 실제로 자살을 시도했다고 밝혔다.

 

2009년에는 부산의 한 고등학생이 동성애 혐오적인 발언과 괴롭힘에 시달리다가 스스로 목숨을 끊는 일이 발생했다. 이 학생은 학교 측에서 진행한 검사에서 심한 우울증과 극심한 자살 충동, 불안 증세를 보였으나, 학교 측에서는 별다른 조치를 위하지 않았다.

 

지난해 법원은 학교 측이 자살에 대해 책임이 없다는 판결을 내렸다. 이에 국내 성소수자차별 반대 단체들은 성명을 통해 유감을 표한 바 있다.

 

한가람 변호사는 이에 대해 “전형적인 사건”이라면서 “청소년 성소수자들은 전체 학생에 비해 네다섯배 넘는 자살시도율을 보인다. 굉장히 위태로운 상황이 발생하고 있었던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교 측이 외부 기관에 접촉하거나 교육청에 문의하지 않았던 것이 문제라면서 “이 학생들을 괴롭히는 학생들이 문제인데도 이 학생이 문제인 것처럼 다뤘었던...결국 이런 것들이 이 학생을 자살로 몰고 간 면이 있다”고 말했다.

 

최근에 서울시교육청을 포함한 교육당국에서는 학생인권 조례를 통해 성소수자차별 문제에 접근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이것만으로 문제 해결은 요원해 보인다.

 

성소수자차별을 반대하는 이들은 조례 자체가 강제성이 없고, 위반시에도 시정하라는 지시만 내려진다며 실질적인 조치를 촉구했다. 쥬리씨는 “(동성애 차별은) 일반적인 학교 폭력과 다른데 어떻게 지원해야 하는지 구체적으로 (대처방안을) 개발하고 적용하고 이런 것들이 필요하다”고 꼬집었다.

 

한가람 변호사는 “다른 학생이 차별과 폭력을 행사할 시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며 학교, 교육기관 및 정부부처에서 해당 정책을 시행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편 성소수자 차별 폐지를 위한 현장의 움직임에도 정부 정책은 엇박자를 내고 있다. 교육부는 지난 3월, 학교 성교육 표준안을 발효했으나 여기엔 동성애에 대한 교육이 배제되어 있어 논란이 생긴 바 있다.

 

.. 중략 ..

 

이와 같은 행보는 국제사회에서의 질타를 받고 있다. 국제인권감시기구(Human Rights Watch)는 최근 이에 대해 한국 정부를 지탄하고 표준안을 수정하라는 성명을 낸 바 있다.

 

.. 중략 ..

 

경제적 한계와 정책에 영향력을 발휘하기 어렵다는 점도 청소년 성소수자들을 어렵게 하고 있다. 이들은 국가 정책 수립 과정에서 당사자인 청소년들이 좀더 목소리를 낼 수 있도록 해줘야 한다는데 입을 모았다.

 

한편 미래의 대한 두려움 역시 청소년 성소수자들을 힘들게 하는 요소 중 하나이다. 대한민국에서 현재 동성결혼은 합법화되지 않았으며, 부부 관련 복지 정책 역시 이성애자 위주로 되어 있다.

 

.. 하략 ..

 

(코리아헤럴드 윤민식 기자. minsikyoon@heraldcorp.com)

 

[원문보기] http://khnews.kheraldm.com/view.php?ud=20150603000723&md=20150603173621_BL&kr=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