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론에 비친 희망법

[한겨레] 남동생의 ‘노스페이스’ 잠바 뒤엔 방글라데시의 눈물이 있었네

희망을만드는법 2014. 9. 2. 17:52

[심층 리포트]

갭·자라·유니클로 등 생산
글로벌 의류공장 된 방글라데시
의류산업 먹이사슬의 ‘밑바닥’


선진국 자본은 생산비 낮추려
낮은 임금·열악한 환경 방치전세계 의류 시장의 크기는 1조7000억달러(1726조원)에 이른다. 경제 규모가 세계 15위인 우리나라가 1년 동안 경제활동으로 새롭게 생산한 부가가치 총합(GDP·1조1300억달러)보다도 훨씬 크다. 지구촌에 사는 70억이 넘는 사람 누구나 옷을 입기에 가능한 수치다.

하지만 그 옷을 만드는 일을 아무나 하는 것은 아니다. 주로 임금 수준이 낮은 가난한 나라의 노동자에게 맡겨지는 일이다. 2차 세계대전 직후엔 일본이, 1970~80년대에는 한국이, 90년대 이후에는 중국이 아시아의 주요한 의류 생산기지였다. 2000년대 이후엔 동남아시아가 세계에서 옷을 가장 많이 생산하는 지역이 됐다.

이들 나라가 의류산업 먹이사슬의 밑바닥에 있다. 먹이사슬의 맨 꼭대기에는 우리에게 친숙한 갭, 자라, 에이치앤엠(H&M), 유니클로, 노스페이스 등 선진국에 뿌리를 둔 글로벌 브랜드가 자리하고 있다. 후진국은 생산비를 낮추려는 선진국 자본의 이해를 충족시킬 수 있는 낮은 임금과 열악한 근로환경을 제공한다. 이렇게 가난한 나라에서 싸게 만들어진 옷은 유명 브랜드가 부착된 뒤 부자 나라에서 비싸게 팔린다. 이 과정에서 1달러에 만들어진 옷에 3달러를 얹어서 판다는 이른바 ‘1 대 3’의 법칙이 통용된다. 생산기지의 임금이 오른다 싶으면 더 싸게 옷을 만들 수 있는 다른 나라로 옮겨 간다. 이 때문에 공장 이전이란 위협은 현지의 노동권과 임금 상승을 억누르는 가장 큰 무기가 되곤 한다.

 

 

.. 중략 ..

 

 

국외에 진출한 한국 기업들의 현지 노동권 침해 실태에 대한 감시활동도 본격화하고 있다. 공감과 희망법(희망을 만드는 법), 어필 등 공익 및 인권법 관련 단체 3곳과 민주노총, 국제민주연대 등으로 구성된 ‘기업과 인권 네트워크’는 지난 7~18일 약 열흘 동안 방글라데시에 있는 영원무역 등 한국 기업에서 일하는 노동자들의 노동권 침해 실태 등에 대한 조사를 벌였다. 이 단체는 치타공 외곽에 있는 한국수출가공공단(KEPZ)에서 일하다가 지난 1월 숨진 미싱 보조사 파빈 악터의 유족 등도 면담했다. 이 단체는 방글라데시뿐만 아니라 베트남과 필리핀 등지에 있는 한국 기업의 노동권 침해 실태를 조사해 조만간 그 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류이근 유신재 기자 ryuyigeun@hani.co.kr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652555.html